본문 바로가기
  • 맛의 마술사 하이디의 뚝딱스토리
Haidi cooks Korean food

이게 그렇게 맛나? 밀떡으로 만든 떡꼬치

by 맛의 마술사 하이디 2025. 1. 23.
728x90
반응형

집에 딸이 있다면, 이것 좀 꼭 만들어보세요! ㅎㅎ

 

주부의 마음은 늘 좋은 재료를 사다가, 요리에 시간과 정성을 들여 음식을 만들어서 가족들에게 주고 싶잖아요?

하지만, 생각보다 저렴하고, 만들기도 간단하면서, 영양 면에서도 그닥 훌륭하지 않은 재료로 만든 음식이 가끔은 무척 인기를 얻기도 한답니다.  ㅎㅎ 

하이디가 시골 마트에서 밀떡을 팔길래, 딸들에게 떡볶이 해주려고 한 봉지 사왔어요.  떡볶이를 잘 아는 (?) 우리 딸들은 쌀떡보다 밀떡으로 만든 떡볶이를 더 좋아하거든요.  히히 ~  밀떡은 저렴한 식재료라지만, 수입쌀로 만든 쌀떡볶이떡보다 오히려 약간 비싸더라고요. 

 

이걸 보더니 대뜸 떡꼬치를 해먹고 싶다는 거에요.  엥?  "밀떡으로 떡꼬치 만든다고?  쌀떡이라야 하는 거 아닌가?"라고 질문했더니, "엄마는 떡-알-못 이래요."  쩝~

작은 애가 간절히 원했고, 그래서 큰딸이 만들어준 떡꼬치 제조방법을 소개할께요.

<떡꼬치 소스 준비>

- 고추장, 고추가루, 물, 진간장 각 1/2 Ts과 요리술 2 Ts, 그리고 다진 마늘1/2을 섞어요.

- 불에 올리고 저어주면서, 끓어오르면 불을 끄고 참기름을 약간 넣어줍니다.  

- 떡꼬치 소스 준비 끝.  

<밀떡 꼬치 준비>

밀떡을 시장에서 말랑한 것으로 사왔으면 더욱 좋겠지만, 제품 밀떡은 굳어있기 때문에 (유통기한: 실온에서 수개월), 꼬치를 끼우려면 말랑하게 만들어줘야 해요.

 

끓는 물에 데쳐내거나, 우리는 물 조금 담긴 도자기그릇에 떡을 넣고 전자렌지에 2분 정도 돌렸어요.  말랑해지기는 했는데 밀떡이 그다지 탄력은 없네요.  갈라진 것도 있지만, 그냥 참아줍니다.  맛은 지장 없으니까요.

꼬치에 5개씩 끼웠고요, 달궈진 식용유에 튀겨냅니다.

떡은 기름온도가 올라가면 심하게 튀어서 화상을 입을 수 있으니, 극히 조심해야 해요.  

앞뒤로 노릇하게 튀겨냅니다.  옛날에 가래떡 구워서 먹었던 기억이 난다고 하시는 분은 조금 연식이 있으시네요.  ㅋㅋㅋ

잘 튀겨진 떡꼬치를 접시에 펼쳐담았고요, 준비해 둔 소스를 실리콘 솔로 발라줬어요.  물론 위아래로 골고루~

자, 떡꼬치가 완성되었어요.  달착매콤한 떡꼬치를 만들어서, 동네맛집에서 사온 간장닭강정이랑 같이 먹었더니 찰떡입니다. (아니, 밀떡입니다. 하하하)

하이디네는 딸들이랑 가족이 뭉치면 그날이 명절이고 잔치인 듯...

떡꼬치 만들고, 닭강정이랑, 하이디표 고구마 맛탕으로 저녁 밥상을 차렸어요.  (밥은 거의 안먹었지만)

간단히 만들어서 즐길 수 있는 떡꼬치, 긴 명절연휴에 가족들이랑 이런 걸로 한끼 즐기시는 것도 재밌을 것 같아서 하이디가 미리 제안하는 연휴 틈새메뉴에요~! 

 

** 마트에서 밀떡 한봉지만 준비하시면 되거든요.

728x90
반응형